*This content is exclusively available to attendees after the event. Please request access.
<aside>
🕒 15:00 — 오프닝 및 환영사
Summary
Notes
Transcript
Thank you so much, so much again for coming to Africarena Seoul Summit. So here you have Dan. So I'm the head of programs at Africarena and Africarise. And then I'm joined with my co-emcee, Yuhua Jin. I'm going to let her introduce herself. Hi, I'm Yuhua Jin, CEO and founder of Africocorp.
which is one of the hosts of today's event. Hello, my name is Yuha Jin. I am the CEO of the African Corporation. It is a pleasure to be here with you today.
Thank you so much. So, we're going to go straight into the program. So, first of all, I'm going to give you a quick introduction about who we are, how you're going to follow me in English. And then from there, we are going to move with the program and have our first keynote open address from the director of programs at Korea Africa Foundation.
So, I'm going straight to just explain what Africana is, because maybe you... I hope you have asked your question when you have seen the link of registration. So, Africareena is a platform in Africa that primarily... The way we do that is we have a series of events that we organize across Africa.
So this year we were in Johannesburg, then we went to Lagos, and we also went internationally, so outside of Africa, so London, as well as Berlin, and this year we're also going straight to Nairobi around September to have events for showcasing start-ups from Africa to a network of investors and others.
So, in Africana, basically, we have about four key programs in it. So, Africana is more like an umbrella. You have Africara, which is an acceleration program. I'm going to speak more about it. And I work with the Korea-Africa Foundation. And then you have Digital Collective Africa, which is really a community of investors based in Africa.
And then you have AfricanaWide, which is our app, where you have an all-in-one. And then you have also our incubator program in Africa, specifically in South Africa. That is called SatLabs, where we have really startups at a very early stage that we have to implement in terms of their ideas. So we started in 2017, and since then in our program we had about a thousand startups from all over Africa.
And by being in our network, we help them cumulatively to raise about $884 million. And that has happened through our events, through our circuits, through our programs. And we are really proud about this number. We are growing, we are expanding, and we are trying to get more impact on the African continent.
Now speaking a bit now more about what is specifically AfricaWise, so when you look at AfricaWise here, it's basically an acceleration program based in Africa. that runs in the circuit of Africa right now. So through Africa Alliance, you have startups that have access to mentorship. They come and teach, and we also help them to connect with investors. And specifically, we also help to build bridges of innovation between different ecosystems.
So since last year, we have started to work with the Korea Africa Foundation to bring Korean ventures in Africa. So last year we had a successful program, that you can see even on the screen on those pictures, where we brought about seven Korean stars focused on the climate to expand for about six to eight weeks in Africa, specifically in South Africa and Kenya.
And from there we helped them to have B2B meetings, potential partners, and at the end, sign MOUs that will help them to then implement their businesses in Africa. This is the kind of work that we do. Then this year again, here, we came for about two weeks to run a new program, part of the GLEP, so Global Market Expansion Program, run by the KICEF, the Korea-Africa Foundation, where we will have again seven climate tech startups that will come to Africa and then expand in South Africa and in Kenya.
So it's going to be a program of about four to five weeks, and most of the startups are present here today. So you have the occasion to meet them, you're going to speak about it, and so on. And then specifically, like I said, we're going to have two weeks here, two weeks in South Africa, and about three days in Kenya. So this is kind of the work that we do. Again, government visits, one-on-one mentorship, business venturing, local ecosystem visits.
So everything that is necessary for current ventures to come and explore more opportunities in Africa. And if you want to know more about us, you can scan this QR code. You're going to see our website. You're going to be able to check what we do. You're going to be able to see everything that I spoke about. What I will try to do is that after the event, we'll be able to share, even after a newsletter or later, where you can have those slides and more information about what we do.
But I will just end here. I would like to thank again our sponsors and partners for this edition. And I'm going to call briefly, specifically Stanley, that is representing the Chamber of Commerce from South Africa. Let me just do a quick greeting of about one minute.
Can you clap hands for him, please?
Good day, everyone. My name is Stanley, so I'm going to represent the Chamber of Commerce from South Africa today.
Thank you.
I'm sure you all understand since you speak English so well. Before we move on to the next question, I'd like to ask Stephanie, who just said hello,
It is a platform that connects startups, tech companies, and investors.
This event is being held in different regions of Africa and Europe. This is the first time it is being held in Seoul. 다음으로 조 키비 기획조정국장님을 모시겠습니다.
</aside>
Summary
https://www.linkedin.com/in/jklee2023/
재단 소개 및 아프리카 아레나 파트너십
네트워킹의 중요성
코리아프리카 스타트업 네트워크 런칭
Notes
Mr. Lee Jongkill
Transcript
워낙에 이렇게 알던 분들이 많아가지고 제가 따로 인사를 드리니 어색할지 모르겠는데 저기 보면은 오프닝 어드레스라고 되어있는데 우리가 이제 오프닝 리박스 오프닝 어드레스 하고 뒤로 누우고 하다가 5분 가잖아요?
전형적 인티피컬한 어드레스는 하고 싶지는 않고
간단하게 재단 소개도 드릴 필요도 없을 것 같고요. 재단은 아프리카 관련된 여러 사업을 하는 중에 그 중에 스타트업 사업을 저는 집중적으로 추진을 하고 있고 제가 짧게 먼저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아프리카 안에다가, 아프리카에는 액셀러레이터가 상당히 많습니다. 국가에 한정되어 있고, 분야에 한정되어 있고, 지역별로 어쨌든 여러가지 유형의 액셀러레이터가 많이 있는데 진짜 아프리카를 덤아프리카를 다루고 모든 분야를 다루고 하는 그러한 배는 정말 아프리카 아래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2022년에 저랑 직원이 막 서치를 했어요. 하다보니까 여러분들이 나오는데, 어? 다 그랜드 서밋 이렇게 나오는거에요. 그리고 케이프타워에 있는 태블러 같은 사진이 있고 그래서 어? 아닌데? 그래가지고 확 서치를 했죠. 그래서 무작정 갔습니다. 가서 연락을 하고 그때부터 관계를 맺었어요. 관계를 맺어서 저희가 행사에도 참여하고 우리 스타트업들도 그 다음에 데려가서 프로그램도 하고 해서 그 인연이 돼서 지금까지 온거고 우리가 이렇게 3년, 4년 했다는 이야기는 그리고 그 다음에 사업들이 계속 같이 늘어났어요. 그 이야기는 그만큼 믿음직한 파트너
오늘 이 자리에 서울서미스가 좋은 행사를 열어줄것에 대해서 아프리카 아레나 크리스토퍼 때문에 너무나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저희같으면 재단에서는 이런 행사를 하는게 조금은 제한상이 있어요. 아시겠지만 공공기관이나 정부기관 하면 되게 딱딱하고 앞에 인삼만 5명 들어가있고
하지만 스타트업 행사만큼은 아프리카 아레나가 하는 것처럼 오늘 행사처럼 자유롭고 여러분들이 대토킹 할 수 있는 그런 장소입니다.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두 가지 말씀을 드리고 싶은데, 첫 번째는 아프리카 떠오르는 대륙, 장제력, 성장 가능성 다음 차세대 시장 이런 얘기 많이 하는데 진짜 비즈니스 하기 어려워요. 물론 저보다 경험 많은 사업하시는 분들 많이 있지만 진짜 비즈니스 하기 힘들고 진짜 오래걸리고 진짜 어렵고 되는 것도 없고 안되는 것도 없고 힘들어요. 그런데도 불구하고 재단도 이런 사업을 하고 있고 왜 여러분들이 오랫동안 이렇게 아프리카 사업을 하고 있는지 생각을 해보면 그래도 오랜 시간 열심히 하다 보면 그에 대한 또 결과가 있을 수 있고
또 우리가 좋은 파트너를 만나면 그만큼의 또 그 다음 비즈니스로 연결될 수 있는 그런 기회들이 많이 있다는 것을 저는 확신을 하거든요. 뭐 근데 우리가 또 다른 대륙과 다른 국가를 비교해 가지고 좋냐 마냐 그거에 비교돼서는 아닌 것 같고, 실제 아프리카는 여러분들이 실제 가고싶지 않으신 분들은 실제 가고 어떠한 활동을 하실 때는 여러분들이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많은 그런 생각하지 못했던 것들이 있는 그런 대륙이라고
단 여기서 중요한 것은 제가 첫번째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네트워킹이 정말 중요해요. 그래서 제가 처음에 아프리카 가서 행사를 하는데 근데 이 사람들은 서로 비즈니스 얘기도 안하고 저녁에 모여서 칵테일 파티를 하는거에요 와인을 마시고, 야 그럼 내 사업소개는 언제 하니? 그래서 보면은 계속 2, 3시간, 3, 4시간, 5시간, 6시간까지 돌아왔어요. 그냥 자유롭게 이렇게 자리가 있어요. 이만한 공간이 있고 그냥 각자가 3, 4, 5, 6, 7, 8.
처음부터 가서 야 너 뭐해? 나 뭐해? 우리 도움을 주고 가야 될까? 이런게 아니라 그냥 그 자리에서 서로가 서로가 그냥 랫토킹 하면서 그 다음에 필요하면 사업의 기회를 발견하는
근데 그 다음에도 계속 모든 행사에, 모든 컨퍼런스에, 모든 세면에 다 가보면 그러한 네트워킹 자리를 통해서 뭔가 사업이 연결이 되고 그 다음에 관계가 형성되는 경우가 많아요. 그래서 첫 번째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오늘 이 행사, 나중에 이제 네트워킹까지 있겠지만, 오늘 계시는 이 분들끼리의 네트워킹, 또 그게 또 다른 기회로 연결될 수도 있기 때문에 오늘 시간을 많이 활용하셨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두번째는 제가 오랫동안 좀 꿈꿔왔던건데 한국과 아프리카, 아프리카를 한 단어로 할 수는 없지만 50개국도 넘었고 다양하게 하지만 섹터도 분야도 너무나 다양하고 비즈니스의 스테이지도 다양하지만 제가 오랫동안 꿈꿔왔던 것 중에 하나는 한국과 아프리카를 잊는 그리고 이것을 한 바구니에 담을 수 있는 플랫폼, 비즈니스 플랫폼을 만드는 거였어요. 그래서 제가 다음주에 그 플랫폼을 시작합니다. 그래서 런칭을 할건데, 코리아프리카 스타트업 네트워크라는 커뮤니티 플랫폼을 제가 런칭을 할거에요. 이거는 우리가 영리도 아니고.
어떤 뭐 공인된 기관도 아니지만 그 내에서 우리가 서로 정보도 공유하고 또 서로의 또 이야기도 또 공유하고 필요하면 도움도 주고 받을 수 있는 그리고 세미라도 같이 기획할 수 있고 이런 장을 만들 수 있는 플랫폼을 이제 다음주에 제가 링크딩 통해서 이제 런칭을 할 거고 그 장을 통해서 우리가 가끔은 그런 생각을 하시는 분들이 있어요. 아프리카를 내가 이 시장을 선점을 한다, 이 시장을 차질을 한다. 말도 안 되는 소리입니다. 50여 개국의 섹터도 여러 개인데 수백 개, 수천 개가 있어도 모자랄지 모르겠는데 내가 이 정보를 공유하면 남들이 이 정보를 가져가서 내 사업을 더 뺏어가고 그럴 필요가 없어요. 오히려 나누고 도움을 주고받으면 되는 시장이 아프리카가.
제 생각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제가 그 플랫폼을 만들어서 저의 링크링을 통해서도 공유하고 앞으로 어떤 행사들이 있을 때마다 공유 드릴테니까 오셔서 돈을 받은 것도 아니고 오셔서 자유롭게 거기에서 네트워킹 하시고 서로 도움을 받으실 수 있는 그런 자리가 됐으면 좋겠다는 말씀을 드리면서 제 인사를 마치겠습니다.
<aside>
</aside>
Questions